잇몸이 시린 거랑 욱신거리는 거랑 잘 구분하셔야 합니다. 시린다는 것은 치석 과잉으로 인하여 잇몸과 치아 경계선에 틈이 발생하고 그 틈으로 바람과 이물질이 지나가 시림 증상이 생기는 것을 풍치라고 합니다.
그러나 그냥 그러한 이유 없이 잇몸이 욱신거린다면 충치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미 풍치 단계는 지나갔으며 안에 충치가 자리 잡아 치아 뿌리 부근으로 잇몸 통증이 나타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로 오래된 크라운 아래쪽에서 충치가 시작해서 양 사이드 치아 뿌리 부근에 충치가 옮겨와 정착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정착된 충치는 잇몸 염증부터 발생시키며,
결국 치과에 가시면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아주 가끔 임플란트 너무 비싸다고 크라운을 고집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일단 임시치아용이면 크라운이 좋습니다만, 그리 오래 사용하지는 못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잇몸과 치아 사이 경계 부근에 치석이 쌓이게 되는데,
이 부분이 크라운한테는 굉장히 치명적입니다. 크라운 내부에 치석이 생기고 그 치석이 충치가 돼버리면, 가뜩이나 신경치료를 이미 진행한 크라운 자체에 통증이 안 느껴지는데,
아무 통증 없이 치아가 멀쩡하고 정상적인 줄 착각하고 살아가다가 옆치아가 오염되어 염증이 생기는 증상이 많습니다. 결국 양 옆 사이드 치아까지 모두 다 치료해야 하는 상황이 생겨나게 되지요.
그래서 가급적이면 앞으로의 충치 예방이 목적이시라면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를 하시는 방향이 가장 좋다고 보이오니 이점 잘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오늘의 글을 보시고 현재 본인의 상태를 자가진단 하셔서 어떠한 치료가 가장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