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금니가 뻐근함이 크라운을 씌운 다음에 뻐근한 건지, 아니면 영구치 자체가 뻐근한 건지 잘 분별하셔야 합니다. 크라운이 뻐근한 거면 그 치과에서 잘못 치료를 한 부분이므로 재시술을 그 치과에서 받지 마시고, 다른 치과에서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그게 아닌 영구치인 경우에는 음식물 껴서 잇몸 염증으로 인하여 뻐근함이 느껴지거나, 그게 아니면 크라운 내부가 썩어버려서 충치 자체가 옆치아 뿌리 부근에 정착하여 염증으로 인해서 뻐근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확실히 집어 주고 싶습니다. 치아 뿌리 부근 혹은 어금니가 뻐근함과 동시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에 잇몸약을 드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으신데요.
이는 충치 치료를 방치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이렇게 계속 진통제를 드시게 되시면 나중에 크라운 양옆의 치아까지 전부 다 발치를 한 다음에 임플란트를 하셔야 합니다.
임플란트가 가능하다면 다행이지요. 너무 오랫동안 방치하는 경우에는 발치하고 틀니 하셔야 합니다. 잇몸뼈가 녹아내리는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할 수가 없습니다.
어금니가 뻐근하기만 한 경우에는 둘 중 하나입니다. 앞에서 필자가 언급드렸다시피 이물질이 끼어서 생겨나는 증상과 크라운 안에 충치가 생겨서 잇몸 염증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충치가 생겼는데 통증은 느껴지지 않으실 것입니다. 거의 대부분 크라운을 씌우기 전에 신경치료를 진행하고 씌우는지라 안에서 썩는지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한 가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긴 한데, 크라운 부근에 썩은 냄새 혹은 음식물 냄새가 나오는 경우에는 안에 내부적으로 썩고 있는 상태이오니, 크라운을 발치하고 내부 상태를 확인하시어 전문의가 안내하는 치료를 진행하시면 오랫동안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