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눈물 부작용 종류 순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인공눈물 부작용 1위는 안구의 눈물양 조절 습관이 틀어져버리는 것입니다.
우리의 눈은 외부의 환경에 따라 눈물의 양 조절이 되므로, 환경 자체가 건조한 환경이면 자연적으로 눈에서 눈물을 생성해 내어 먼지들과 노폐물들을 눈물을 통하여 흘러내리게 합니다.
눈물의 양이 부족하면 눈곱으로 만들어 눈곱이 외부의 먼지를 보호하는 시스템으로 작동되지요. 그러나 이 상태에서 인공눈물을 계속 넣으면?
눈이 과도하게 인공눈물로 인하여 촉촉해버리면, 눈은 더 이상 눈물 분비를 줄이게 됩니다. ” 어라? 너무 촉촉한 환경인데? 앞으로 눈물 분비를 줄여야겠다. ” 하면서 말이지요.
즉 인공눈물 한번 사용하면 끝까지 사용해야 되는 것이 이러한 이유입니다. 갑자기 어느 날 인공눈물을 깜빡해서 두고 왔다면 그날은 거의 안구건조증으로 엄청나게 고생을 하게 됩니다.
결국 인공눈물을 안 쓰고자 마음을 먹어도 안 쓰고 한 달 정도는 결막염 혹은 다른 기타 질환들인 염증이 생길 확률이 많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렌즈 때문에 인공눈물을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은 중단하시고 안과에 가셔서 검사를 받으신 다음에 안경 맞추시기 바랍니다.
안경이 그래도 1차적으로 먼지랑 세균을 필터 해주오니, 안구건조증이 심하시거나 눈에 염증이 잘생기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오니 이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정도만 알고 계서도 충분히 눈건강 오랫동안 지킬 수 있사오니 이점 잘 참고하셔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에 오늘은 간단하게 인공눈물 부작용 종류 순위에 대해서 이야기를 마치며 다음에는 다른 관련 주제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